Rick and Morty_Season 2 Episode 4 영어표현~
집안 꼴 개판 난 스미스가(묘하게 거실이 넓어진 것 같은데...?)
누군가(?) 옷에 묻여온 외계인 기생충 알이 부화해서 뇌에 조작된 기억을 심고 무한증식해서 결론적으로는 저 꼬라지가 났다...
뇌 빼두고 보기 좋은 쉬어가기 에피소드니 함 츄라이 츄라이
+) 이번 에피소드 끝에는 맥거핀이 숨어있으니 keep your eyes on this show!(and post hehe)
Jerry, but life is made of little concessions.
원하는 걸 다 가질 수는 없는 법이지
제리가 부엌에 있는 빛나는 돌 좀 치우라고 하니까(정확히 말하면: I don't like glowing rocks in the kitchen trash!_부엌 쓰레기통에 있는 빛나는 돌 싫다ㅡㅡ) "내 핏줄에 실직자 유전자가 있는게 싫지만 난 군소리 안하잖아?"라고 받아치는 공포의 주둥아리...
살살 때렸다가 제리 뼈가 부러지게 생겼다.
"Life is made of little concessions"은 "인생은 양보하는 법이 없다"는 뜻이지만
"원하는 걸 다 가질 수는 없는 법이지", "내가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겠어?" 정도로도 쓰인다.
미드나 영드에서 꽤 자주 들었던 관용어라서 체크!
Get off the high road
까불지마
get off the high road...진짜 해석하기 어려웠던 phrase였다!!
일단 번역이나 맥락 상으로는 "까불지마" "잘난 체 하지마"가 되는데, get off는 차치하고 문제의 high road는 뭔 소린지 알아보자
"high road"는 말 그대로 높은 길=순탄한 길을 의미한다.
그래서 take the high road라고 하면 '순탄한 길을 가다', '쉬운 길을 선택하다'는 뜻도 되지만(영국에서는 주로 이 의미로 쓰는 듯함)
미국에서는 '도덕적으로 행동하다', '신념을 지키다', '고상하게 행동하다'라는 의미로 더 널리 쓰이는 듯하다.(정확하지는 않음)
도당체 왜 take the high road가 '도덕적으로 행동하다'는 의미인지 이해가 안가서 폭풍 구글서치를 했는데,
아주아주 흥미로운 origin이 있었다!
때는 1948년 쌀국 대통령 선거에서 33대 대통령이었던 해리 S. 트루먼과 경합이 붙었던 Thomas Dewey(발음 모름 ㅈㅅ)이 선거 캠페인 문구에 "take the high road"라는 말을 쓰면서 널리 쓰이기 시작했던 것!
아마 이 때부터 도덕적이라는 내용이 이 phrase에 들어가게 된 것 같은데,,, 그 경위는 잘 모르지만 어쨌든 영국과 쌀국의 사용 범위가 다르다보니, 이 phrase에 대한 origin 탐구가 꽤 이뤄졌나 보다~
Can't afford to chance it.
조심해야 해
문자 그대로 "시도해 볼 여력이 없어"⇒"조심해야지"로 해석된다.
주어 I 가 생략된 건 이젠 너무 흔해서 굳이 언급할 필요 없겠지?ㅎㅎ
상황은 릭이 외계 기생충에 대항하기 위해 급히 실드를 가동하는 중이다. (뒤에 쓰인 기생충이 아닌 "진짜" 사람의 수를 메모하기 위해 적어 둔 것!)
After due consideration, I have elected not to retire.
장고한 끝에, 은퇴하지 않기로 했답니다.
due를 '기한, 기간'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을 텐데, due는 사실 뜻이 아주 다양한 단어이다.
기본적으로 due는 'customary, regular, right, proper', 즉 '적당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걸 유념해두자!
그러다 14세기 프랑스 단어 deu에서 'owed, payable as an obligation, owing by right of circumstance or condition'라는 의미가 추가되었고(형태가 비슷하니까) 이 기본 의미들에서
'~로 인한', '~덕분에', '적절한', '마땅한' 등의 의미들이 파생된 것이다.(헉헉 힘들다)
'after due consideration' 자체는 '장고한 끝에', '적절한 고민 끝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격식체이니 기억해두기!
아주아주 고상하게 말하는 Butler 덕분에 elect라는 단어의 뜻도 새로 알게 되었는데,
elect는 '결정하다'라는 뜻도 있다! 이 또한 격식체이나 굳이 주목할 필요는 없고 그냥 알아두는 정도로 넘어가자.
(고어체, 격식체, 공식적인 자리에서 쓰는 말들이 많이 나오는 The Crown, Game of Thrones 등등등 굳이 영국 발음 배우겠다고 덤빌 필요가 없는 이유가 바로 요것... 현대언어 먼저 마스터하고 시도해보자구욥!)
And her jusband, Sleepy Gary, is hands down my absolute friend.
그리고 베스의 남편, 잠꾸러기 개리는 의심할 여지 없이 내 친구죠.
'hands down'은 두 가지 의미로 잘 쓰인다.
먼저 1. 수월하게, 노력하지 않고 라는 뜻!
말 그대로 손도 대지 않고 할 정도로 쉬운 일이다는 의미에서 쓰이는 관용표현이다.
그 다음은 2. 명백하게, 확실한 이라는 뜻인데, 이 뜻은 좀 더 casual하게 쓰이는 표현인듯하다.
본 짤에서는 당연히 absolute의 의미로 쓰였는데, 제리가 100% 1000% 확신하고 말하는 sleepy gary는 당연히 외계 기생충이다.(ㅋㅋㅋㅋ)
Beyond that, no offense to any of you, but all bets are off.
별 뜻은 없지만, 나머지 분들은 다 확실하지 않아요.
'all bets are off'는 '시도한 바가 무효가 되다, 모든 것이 백지로 돌아가다[오다]'라는 뜻이지만, 본문 context에서는 '확신할 수 없다', '확실하지 않다', '미궁에 빠지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원래 'all bets are off'는 포커게임에서 쓰던 용어로 여러분이 생각하는 그 뜻이 맞다.(판 엎어 엎어~)
원래 싼마이가 입에 착 감기는 법
도박장에서 쓰이던 용어가 퍼져서 formal한 상황에서도 무리없이 쓰이는 phrase가 되었다!
다양한 상황에서 응용이 가능할 것 같아서 mark!
The jig is up!
다 틀려먹었어!
The jig is up은 '다 글렀다' , '볼 장 다 보다'라는 뜻이다.
얘도 origin이 궁금해서 폭풍서치를 해봤는데
위키피디아 사전에서 이렇게 띡 하고 써져 있었다ㅠㅠ
어쨌든 이 사전 의미에 궁예를 첨가하자면
jig라는 춤이 끝났다 = 파티가 끝났다 = 볼 장 다봤다 로 의미가 파생파생파파생 된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우리도 '쇼는 끝났다'라고 하는 것처럼...
동서양 막론하고 춤판 끝나면 볼 장 다 봤다고 하는 건 국룰인가 보다~
지금이 시즌 6이니 결국 끔살 엔딩은 예정되어 있는 거지만... 결론을 알고봐도 소소잼, 꿀잼인 에피소드여따...
하나하나 다루진 않았지만 알아두면 좋을 phrase, slang, word를 밑에 정리해두니 한번 체크해보세요!
Phrase / Slang / Word | 뜻 |
land on one's feet | 자립하다 |
count on | 기대ㅏ다, 확신하다, 믿다 |
cooped up | 칩거하다, 모이다, 꼼짝않고 들어앉아 있다 |
set a course to | ~로 가다, 출발하다 |
i'm biased, ~ | 내가 틀릴 수도 있지만 |
on the wrong side of the pitchfork | 잘못 알다 |
keep a level head | 침착함을 유지하다 |
way is up | (일이 어떻게든) 해결되다, (상황을) 해결하다 |
set me up with | ~에게 ...을 소개시주다 |